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욕시 한인밀집지역 빈집털이 증가

뉴욕시 한인 밀집지역에서 발생한 빈집털이 사건이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경(NYPD)이 최근 발표한 범죄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4일부터 이달 1일까지 한인 밀집지역인 109경찰서 관할구역(플러싱·칼리지포인트·화이트스톤 등)에서 28일간 발생한 빈집털이 사건은 55건으로 전년 동기(48건) 대비 14.6% 늘었다. 강간 사건은 지난해 같은 기간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지만, 올해 11월에는 6건 발생하며 크게 증가했다.     이를 제외한 주요 범죄는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 사건은 29건에서 21건으로 27.6% 감소했으며, ▶차량 절도는 10.8%(37건에서 33건) ▶중폭행 사건은 8.8%(34건에서 31건) ▶중절도 사건은 7.7%(91건에서 84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11월에도 해당 구역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은 없었다.     109경찰서 관할구역의 전체 주요 범죄 건수는 전년 동기 239건에서 올해 230건으로 3.8% 줄었다.     지난 28일 동안 퀸즈 북부 전체 주요 범죄 건수 역시 작년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북부 퀸즈의 주요 범죄 건수는 지난해 1253건에서 올해 1129건으로 9.9% 감소했다.     항목별로 보면, ▶살인이 50%(2건에서 1건) ▶강도 사건이 7.4%(148건에서 137건) ▶빈집털이가 4%(173건에서 166건) ▶중절도 사건이 18%(499건에서 409건) ▶차량 절도가 12.3%(204건에서 179건) 줄어드는 등 대부분의 주요 범죄 건수가 감소했다. 반면 강간 사건은 전년 대비 28.6%(14건에서 18건), 중폭행 사건은 2.8%(213건에서 219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11월 뉴욕시 전체 주요 범죄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5.7%(1만235건에서 9647건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철 시스템에서 발생한 범죄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8%(240건에서 202건) 줄었으며, 총격 사건은 올해 현재까지 전년 대비 6.8%(902건에서 841건) 감소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한인밀집지역 빈집털이 빈집털이 사건 범죄 건수 뉴욕시 한인

2024-12-04

뉴욕시 최고 한인밀집지역은 퀸즈 머레이힐

뉴욕시에서 한인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은 퀸즈 머레이힐로 집계됐다.     2일 뉴욕시 도시계획국(DCP)이 센서스국 인구·인종·민족 데이터를 이용해 구성, 발표한 ‘팩트파인더’ 지도에 따르면, 뉴욕시 한인 중 9926명이 퀸즈 머레이힐 일대에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머레이힐 다음으로는 베이사이드(5531명), 어번데일(4564명), 플러싱-윌레츠포인트(4200명), 더글라스턴-리틀넥(3873명) 등의 한인 인구가 많았다.     이외에 이스트플러싱(3678명), 오클랜드가든(2941명), 베이테라스(2916명) 등에도 각각 약 3000명 수준의 사람들이 살고 있었고, 롱아일랜드시티-헌터스포인트 일대에 거주하는 한인 인구도 1894명에 달했다. 맨해튼에서 가장 많은 한인이 살고 있는 지역은 어퍼웨스트로, 1782명의 한인이 살고 있었다. 어퍼이스트와 루스벨트아일랜드 일대 거주하는 한인은 1665명, 우드사이드 1652명, 서니사이드 1650명 등이었다.     각 지역에서 한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곳도 역시 머레이힐과 플러싱 일대였다. 머레이힐 인구 중 한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7.3%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한인 비중이 높은 지역은 베이사이드(15.5%), 더글라스턴-리틀넥(15.3%), 어번데일(12.6%) 등이었다. 플러싱-윌레츠포인트의 경우 중국인 비중이 훨씬 높은 탓에 한인 비율은 6.0%밖에 되지 않았다. 뉴욕시에서 한인 비중이 0.1% 수준으로 낮은 지역은 이스트할렘, 퀸즈 자메이카, 브루클린 크라운하이츠 등이었다. 주로 브롱스와 브루클린 일대 한인 인구가 적은 편이었다.     시 도시계획국은 센서스국의 2020년 인구조사 데이터 등을 가공, 이같은 지도를 구성했다며 뉴욕시의 다양성을 데이터를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시 도시계획국은 “뉴욕시에서 가장 많은 민족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며, 그 다음으로는 도미니카계·중국계·푸에르토리코계·이탈리아계 등의 민족이 많은 인구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퀸즈에서 가장 큰 히스패닉 그룹은 에콰도르 출신 이민자들이었다. 브롱스와 맨해튼에서는 도미니카계 히스패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김은별 기자한인밀집지역 머레이힐 퀸즈 머레이힐 머레이힐 인구 뉴욕시 한인

2024-07-03

한인 시니어 10명 중 6명 필수 생활비 감당 어려워

미주 한인 시니어 10명 중 6명은 의식주 감당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인커뮤니티재단(KACF)은 아시안아메리칸연맹(AAF)에 위탁해 실행한 미주 한인 시니어의 주거·간병·교통·금융·의료·사회 참여 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뉴욕(194명), 뉴저지(107명), LA(100명), 샌프란시스코(100명), 시카고(100명), 휴스턴(100명), 워싱턴DC(118명) 등 전국 65세 이상 한인 819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한 달 동안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들 중 73%는 제한적인 영어 능력을 가졌으며, 39%는 저소득층인 것으로 파악됐다.   먼저 설문에 응한 한인 시니어 10명 중 6명은 금전적으로 렌트, 식비, 의료비 등 생활에 필요한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 문제에 직면한 이들 중 약 절반(48%)은 어려움의 주요 원인으로 ‘지나치게 높은 렌트’를 꼽았고, 식비(32%), 의료비(27%), 교통비(12%)가 그 뒤를 이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65세 이상 한인 시니어들은 전국 시니어 평균보다 낮은 자산 및 소득을 보유했으며, 그 원인으로는 ▶불안정한 신분 ▶부족한 영어 실력 등이 꼽혔다. 2022년 뉴욕시 한인 시니어 가구의 중위 소득은 3만3541달러로 뉴욕시 전체 시니어 가구 중위 소득인 5만7058달러보다 낮았고, 뉴욕시 전체 시니어의 74%가 소셜연금을 받은 반면 한인 시니어의 수혜 비율은 68%에 불과했다.     또 대다수의 한인들이 언어 장벽 문제로 의료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설문조사 참가자 중 41%가 의료 서비스 이용 시 가장 큰 문제로 ‘언어 장벽’을 꼽았으며, 정보 부족(35%), 정보 기기 사용 및 기술 접근성 어려움(16%), 재정적 어려움(13%), 교통 불편(6%) 등이 어려움으로 거론됐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한인 시니어 중 68%가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하다’고 응답했는데, 가장 큰 원인으로는 ‘버스·전철역까지의 거리가 멀기 때문(40%)’이 꼽혔다. 25%는 안전 문제, 13%는 엘리베이터 및 경사로 부족 등 역 접근성 문제, 6%는 대중교통 비용을 불편의 원인으로 꼽았다.     사회적 고립 역시 문제였다. 설문조사 참여자 10명 중 4명은 ‘광범위한 사회적 참여가 어렵다’고 응답했고, 그 원인으로는 언어 장벽(12%), 한국 문화와 연관된 행사 부족(9%), 먼 거리(7%), 비용 부담(6%) 등이 꼽혔다.   데이터에 따르면 뉴욕시 한인 시니어 가운데 46.7%가 월 소득의 30% 이상을 렌트로 지출하는 등 심각한 렌트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파악됐다. 윤지혜 기자시니어 생활비 한인 시니어 전국 시니어 뉴욕시 한인

2024-04-03

뉴욕시 한인 인구 줄고 있다

뉴욕시 한인 인구가 지난 10년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시안 인구는 증가세를 보여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일 뉴욕시립대(CUNY)가 뉴욕시 구역설정위원회에 보고하기 위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뉴욕시 한인 인구는 8만2396명으로 집계됐다. 2010년 한인 인구(9만9421명)에 비해 1만7025명(17.1%) 줄어든 수준이다.     반면 대부분의 아시안 인구는 같은 기간 늘어난 것으로 집계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방글라데시 인구는 2010년 8만55명에서 2020년 11만6433명으로 3만6378명(45.4%) 늘었고, 인도 인구는 10만980명에서 12만8021명으로 26.8% 증가했다. 중국(18.4%), 파키스탄(10.2%) 인구도 증가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뉴욕시 전체적으로 1970년대부터 주도적으로 이민오던 인구가 감소세를 보이고, 새로운 지역의 이민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시안 커뮤니티의 경우 동아시아보다는 남아시아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뉴욕시 한인 인구 감소 현상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부터 나타나고 있었다. 한국의 경제 수준이 높아지면서 이민 수요가 줄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팬데믹 등으로 이민이 더 급감했다는 분석이다.     아시안아메리칸연맹(AAF)이 작년 가을 공개한 자료에서도 아시안 인구는 지난 5년간 6.8% 증가했지만, 한인 인구는 5.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은별 기자인구 뉴욕 한인 인구 뉴욕시 한인 아시안 인구

2023-03-02

뉴욕시 한인 인구 감소세

뉴욕에서 지난 5년 사이에 한인 인구가 감소했다.     아시안아메리칸연맹(AAF)이 7일 공개한 뉴욕 거주 한국·중국·인도·일본·필리핀·베트남 등 6개 민족별 인구 구성을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아시안은 늘고 있지만 한인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현재 뉴욕시에 거주하는 한인은 총 8만9863명으로 2015년에 9만4955명에 비해서 5.4%(5092명) 감소했다.     뉴욕주로 범위를 넓힐 경우 한인 인구는 총 13만9805명으로 늘지만, 역시 5년 전(14만6307명)에 비해서는 4.4%(6502명) 줄었다.   반면, 뉴욕시 거주 전체 아시안 인구는 증가했다.     2015년 123만3038명에서 2020년 131만7025명으로 6.8% 증가해 뉴욕시 전체 인구(837만9214명)의 15.7%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뉴욕시 전체 인구는 0.6% 감소했다.     아시안의 이같은 인구 증가는 전체 인종 그룹 중 가장 큰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중국, 베트남, 필리핀계가 5% 이상 늘었다.     한편, 뉴욕시 거주 한인 중 가장 많은 수가 퀸즈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5년 전과 비교할 때 퀸즈 거주 한인의 비율은 소폭(3.1%포인트) 감소했고, 브루클린(3.4%포인트 증가)과 맨해튼(0.5%포인트 증가)에 거주하는 한인이 늘었다.     2015년 이후 5년 사이에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한인 수가 61.5% 감소했지만, 2020년 현재 9.7%에 해당하는 8682명이 무보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바마케어 시행으로 무보험자 수가 크게 감소한 가운데 한인의 무보험자의 비율이 아시안 가운데 가장 높은 것이다.     교육 수준이 높은 반면 영어 구사에 제약을 가진 사람이 많은 것도 한인의 특징으로 드러났다.     대학 졸업 또는 그 이상의 학위를 갖고 있는 한인이 전체의 60%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전체 뉴욕시 평균보다 20%포인트 이상 높은 것이다.     하지만 영어 사용이 제한적인 한인이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44.2%로 나타나 전체 뉴욕 평균(22.4%)의 두 배 수준이었다.     한인의 종사 업종은 법률·회계 등 전문 서비스업(16.1%), 소매(12.0%), 의료(11.5%), 금융서비스(10.1%), 기타 서비스(9.5%) 등의 순으로 5년 전에 비해 다양화된 모습을 나타냈다.     자영업에 종사하는 한인은 13.0%로 전체 뉴욕시 평균(9.8%)과 아시안 평균(10.7%)보다 높았다.     장은주 기자감소세 인구 뉴욕시 한인 한인 인구 뉴욕시 거주

2022-09-08

뉴욕시 코로나19 위험도 ‘높음’ 격상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기준 뉴욕시의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 위험 수준이 ‘높음’ 단계로 격상됐다.   17일 아시윈 바산 뉴욕시보건국장은 뉴욕시의 코로나19 위험도가 높음으로 변경됐다고 발표하면서, “이제 가족·친구·이웃 등 주변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선택을 해야 할 때”라고 전했다.   CDC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당 7일 평균 확진자가 200명 이상일 경우 무조건 위험 수준이 중간 단계 이상으로 분류되며, 추가로 입원 환자가 10명 이상, 코로나19 환자의 병상 점유율이 10% 이상을 기록할 경우 지역사회 내 감염 위험 수준이 높음으로 격상된다.   시보건국 통계(14일 기준)에 따르면 뉴욕시의 인구 10만 명당 7일 평균 ▶확진자는 308.51명 ▶입원환자는 10.2명 ▶코로나19 환자의 병상 점유율은 4.24%다.   바산 국장은 위험도가 높음으로 격상됨에 따라 실내 환경과 밀집된 실외에서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고, 밀집된 실내 환경에서의 활동을 자제하라고 권고했다. 단,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 시정부 차원에서의 방역 규제가 추가되진 않는다.   한편, 뉴욕시 한인 밀집 지역인 플러싱 일원이 코로나19 감염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보건국 자료에 따르면, 퀸즈 벨로즈·더글라스턴·리틀넥(우편번호 11004·11005) 지역의 7일 평균 감염률은 18.7%, 베이사이드(11360) 17.4%, 플러싱·머레이힐(11355) 17.4% 등 시전역에서 가장 감염률이 높은 지역 3곳이 한인들이 많이 사는 지역들로 나타났다.   17일 백악관은 연방정부 차원 자가진단 키트 3차 무료 배포를 발표했다. 무료 자가진단 키트는 연방 우정국 웹사이트(special.usps.com/testkits)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이번에는 기존 가구당 4개씩 지급됐던 것에서 8개씩으로 늘었다.   연방 식품의약청(FDA)은 만 5~11세 어린이들도 화이자-바이오엔테크의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에 대해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실제 접종이 시작되려면 CDC의 승인 절차까지 마쳐야 한다.   CDC는 이와 관련해 19일 자문기구인 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 회의를 여는데 여기서도 접종 권고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CDC의 승인이 떨어지면 화이자 백신을 두 차례 접종한 전국 800여만 명의 어린이들이 2차 접종을 한 지 5개월이 지나면 부스터샷을 맞을 수 있게 된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코로나 격상 바산 뉴욕시보건국장 지역사회 감염 뉴욕시 한인

2022-05-17

뉴욕시 한인 자살률 아시안 중 최고

뉴욕시 거주 아시안 중 한인의 자살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일 뉴욕시 보건국이 발표한 ‘뉴욕시 아시아태평양계 건강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시 거주 아시안 중 한인의 자살률이 중국·일본·인도 등 타민족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8~2017년간 인구 10만 명 당 극단적 선택을 택한 한인은 13.4명으로 동기간 일본인(8.0명), 중국인(4.8명), 방글라데시인(4.4명), 인도인(4.3명) 보다 많았다.   이는 뉴욕시 전체 평균인 5.4명의 두배 이상 높은 수치다.   한인들의 “과음 사랑”도 눈에 띄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시 거주 한인 성인 중 24%가 과음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뉴욕시 거주 아시안 평균인 10%보다 2.4배나 많았다. 여기서 ‘과음’의 기준은 한 자리에서 남성 5잔 이상, 여성은 4잔 이상이다. 뉴욕시 전체 평균은 19%였다.   한인들의 흡연율은 뉴욕시 전체 평균인 13%와 같았다. 가장 높은 흡연율을 기록한 아시안은 중국인(14%)였다.   한편, 한인들의 비만율과 고혈압 환자 비율은 가장 낮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시 거주 한인 중 비만 인구 비율은 단 7%에 그쳤는데, 이는 뉴욕시 평균인 11%보다 적은 수치였다.   한인 중 고혈압 환자 비율은 15%로 아시안 평균 23%, 뉴욕시 평균 28%를 밑돌았다.     이는 성인 탄산음료 섭취율과도 연관이 있어 보인다. 한인 중 탄산음료를 하루 1회 이상 섭취하는 인구 비율은 14%로 중국(12%)에 이어 아시안 중 두 번째로 낮았다. 뉴욕시 평균은 23%, 이중 청소년의 경우 35%로 약 3명 중 1명 꼴로 나타났다.   한편, 아시안들의 운동습관은 뉴욕시 평균보다 매우 안좋은 것으로 평가된다. 뉴욕시의 아시안 중 운동하는 사람은 66%로 파악됐는데 이는 뉴욕시 전체 평균인 78%보다 12%포인트 낮다. 한인 중에는 73%로 파악됐는데, 중국인(66%), 인도인(72%)에 이어 세 번째로 낮았다.   자가진단에서 자신의 건강이 “훌륭하다”, “매우 좋다”, “좋다”로 평가한 한인은 89%나 됐다.   또 보고서에 따르면, 한인 중 건강보험 미보유자는 단 6%에 그쳐 가장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 평균은 12%였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아시안 자살률 뉴욕시 한인 뉴욕시 거주 뉴욕시 아시아태평양계

2021-12-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